The 2016 political scandal in South Korea exposed the fragility of fairness and transparency within the country's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s. Has society truly progressed from its past, or does it remain subject to invisible forces of control? This project explores these questions by drawing on the concept of Joseon Film, using it as a critical lens to reflect on the present.
Joseon Film refers to early 20th-century cinema produced in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heavily censored and designed to serve imperial propaganda. While the public enthusiastically embraced this new medium, they were largely unaware of the political messaging embedded within it. By adopting the aesthetics and structure of Joseon Film, this project questions how much has genuinely changed over the past century.
The visual elements are inspired by historical records and reinterpreted through an experimental process. Motion graphics were printed at 12 frames per second, with each frame physically manipulated—rubbed, distorted, and rescanned—to create a fragmented, almost spectral motion. This deliberate distortion mirrors how inform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can be shaped, obscured, and controlled by unseen powers.
Alongside the film, a research book was produced, compiling historical analysis and contextual insights. This publication, exhibited together with the film, offers a deeper exploration of the parallels between past and present, inviting viewers to reconsider the narratives that shape their reality.
2016년 한국은 국정농단사태를 겪으며 현재 한국의 정치와 사회 구조가 얼마나 공정하고 청렴한 질서를 갖추지 못했는가를 알게 되었습니다. 과거로부터 진정으로 발전해왔는가, 아니면 여전히 보이지 않는 권력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가? 이에 대한 탐구를 위해, 한국에 영화가 처음 도입된 시기의 ‘조선 영화’ 개념을 차용하여 현재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조선 영화’는 1900년대 일제 강점기를 겪은 조선에서 제작된 영화로, 일제의 철저한 검열과 통제를 받으며 내선융화 목적에 따라 기획되었습니다. 당시 대중은 신문물인 영화를 열광적으로 소비했지만, 그 이면에는 일본의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조선 영화의 형식과 특성을 차용하여, 100년이 지난 지금 우리 사회가 얼마나 자유롭고 독립적인지를 되돌아보는 비판적 질문을 던집니다.
영상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당시의 기록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독특한 시각적 변형 기법을 적용했습니다. 1초당 12프레임으로 출력한 모션 그래픽을 각 프레임별로 물리적으로 문지르고 스캔하는 과정을 거쳐 완성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영상의 움직임은 부자연스럽고 왜곡된 형태로 나타나며, 이는 보이지 않는 거대한 힘에 의해 조작되고 흐려지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또한, 당대 자료를 조사·분석한 내용을 정리한 리서치북을 함께 제작해 영상과 함께 전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