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next

Self-initiated project
2015

Research project / 2D graphic / Experimental video / Publication

Format: Video
Duration: 06' 09''
Watch full video  ↗
How can lesser-known pure Korean words be more effectively introduced, leaving a lasting impression and seamlessly becoming part of everyday language?

TThis project was born out of a deep appreciation for the beauty of pure Korean words and a desire to revive their presence in contemporary usage. Rather than simply listing and defining words, the project sought to interweave them into a cohesive narrative, allowing them to be experienced in context. Extens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analyse various pure Korean words, exploring their semantic connections to construct a compelling story. To maximise the emotional and visual impact, meticulous attention was given to character development and setting, ensuring the project functioned not only as an informative piece but also as an engaging promotional video.

As a team project, responsibilities spanned from the initial planning stages to filming and editing, with a leading role in shaping the overall production. Additionally, involvement in the post-production sound design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emotional depth of the final piece.

Through this project, the unique beauty and significance of pure Korean words are reinterpreted in a modern context, offering audiences a fresh and immersive experience.

+ Synopsis:
The video features words such as 꽃멀미 (the dizziness experienced when intoxicated by the beauty of flowers), 비거스렁이 (the phenomenon where the wind blows after rain, causing a drop in temperature), and 그루잠 (the brief nap taken after waking up from sleep). The protagonist, Daeun (26), repeatedly drifts between wakefulness and sleep, caught in a cycle of tension and anxiety, moving between dreams and reality before finally awakening.


잘 알려지지 않은 순수 우리말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알리고, 나아가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기억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까?

이 프로젝트는 점점 사라져가는 순수 우리말에 대한 애정과 이를 되살리기 위한 고민에서 출발했습니다. 단순한 단어 소개를 넘어, 각각의 단어가 하나의 이야기 안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기획했습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순우리말을 조사하고, 의미적 연관성을 분석하여 스토리를 구성했으며, 단어의 감성을 시각적으로 극대화하기 위해 인물과 배경 설정을 정교하게 다듬었습니다. 일련의 과정을 통해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하나의 프로모션 영상으로서도 매력적인 형식을 갖출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본 프로젝트는 팀 단위로 진행되었으며, 기획 단계부터 촬영 및 편집을 주도적으로 담당하며 전체적인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또한, 후반 사운드 작업에도 기여하여 영상의 감성을 극대화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순수 우리말이 가진 고유한 아름다움과 의미가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되며, 더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경험으로 다가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시놉시스:
영상에서는 꽃멀미 (꽃의 아름다움에 취해 느끼는 어지러움), 비거스렁이 (비가 그친 후 부는 바람과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 그루잠 (한 번 잠에서 깼다가 다시 드는 짧은 잠)과 같은 단어들이 등장합니다. 주인공 다은(26)은 긴장과 불안 속에서 잠과 깨어남을 반복하며, 꿈과 현실을 넘나들다 마침내 완전히 깨어납니다.
Credit:
Team member - Ye Jin Choi, Ga Eun Joo, Subin Choi
* Filming & Editing - Ye Jin Choi, Subin Choi
* Color Correcting - Ye Jin Choi
* Sound design - Ga Eun Joo

Footnotes

-

No footnotes for this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