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ination can enrich our lives.
If every thought we had were strictly bound by logic and reason, we might unknowingly find ourselves living a suffocating existence. Yet, from time to time, meaningless daydreams serve as small escape routes in our lives. But what if these fleeting imaginations didn’t simply disappear? Could the very act of preserving them provide a sense of comfort? And how could we create a visual experience that captures and shares these intangible moments?
UWith these questions in mind, we designed an interactive environment that stimulates imagination and allows fleeting thoughts to be recorded and stored in a virtual space. Rather than letting these ephemeral ideas fade away, we sought to transform even the most seemingly insignificant gestures—such as idle doodles or absentminded hand movements—into visual elements that could be collected and shared in a digital realm.
To achieve this, we developed a custom fog screen and integrated Leap Motion sensors to capture real-time hand movements, allowing visitors to see their gestures materialize in mid-air as if they were drawing on the fog itself. These traces of imagination were then stored in the digital world we created, ensuring that they remained as lasting imprints rather than vanishing into oblivion. This project was not merely a technological experiment but an exploration of how even the most fleeting, seemingly purposeless thoughts and actions can provide quiet moments of solace and connection.
“If it were scientifically proven that all UFOs in the world are not exists, then it is evident that people on Earth would, to some extent, become a bit lonlier.” -Suk-won Lee, The Ordinary Existence
상상을 하는 것만으로도 삶은 조금 더 풍요로워집니다.
만약 우리가 하는 모든 생각이 철저하게 논리와 이성에 맞춰져야 한다면, 우리는 알지 못하는 사이에 숨 막히는 삶을 살아가게 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때때로 의미 없는 공상은 그러한 삶 속에서 작은 탈출구가 되어줍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상들이 사라지지 않고 어딘가에 기록된다는 사실만으로도 위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시각적으로 경험하고 공유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서 출발하여, 우리는 상상을 자극할 수 있는 시각적 환경을 만들고, 공상의 순간을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설계했습니다. 작은 상상들이 모여 하나의 공간을 이루고, 단순히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세계 속에 남아 있도록 함으로써, 의미 없어 보이는 손짓이나 낙서조차 시각적 요소로 변환되며 공유되는 특별한 경험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이를 위해 맞춤형 안개스크린을 제작하고, Leap Motion 센서를 활용하여 관람객의 손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허공 위에 그려지듯 시각화하는 시스템을 연구했습니다. 관람객이 손을 움직이면 안개 위에 흔적이 남고, 이 기록된 상상들은 우리가 구축한 가상의 디지털 세계 속에 저장됩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기술적 실험을 넘어, 무의미해 보이는 생각이나 작은 움직임조차 우리를 위로할 수 있다는 점을 감각적으로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만약 세상의 UFO가 모두 거짓이라는게 과학적으로 명백히 밝혀진다면, 지구 위의 인간들은 모두들 약간씩은 더 외로워질 것이다." - 이석원, <보통의 존재> 중에서.
Credit:
Team member - Ye Jin Choi, Hwa Jung Lee, Seul Bi Lee, Jiyoon Park
* Concept Development - Ye Jin Choi, Jiyoon Park
* 3D graphic - Jiyoon Park
* Programming - Ye Jin Choi, Hwa Jung Lee, Seul Bi Lee
* Engineering - Seul Bi Lee
Footnotes
1
Sukwon L. The Ordinary Existence. Dal, 4 Nov. 2009.